* 비단잉어/비단잉어 공부

kinkiryu(금휘룡)

2이하 2012. 12. 14. 00:46

아래의 사진과 내용은 'nishikigoi mondo' edited by INPC에서 나온 내용을 옮겼음을 밝힙니다.

문제점이나 수정되어야 할 점이 있으면 댓글을 통하시길 바랍니다.

                                                     보통비늘 계통의 kinkiryu

                                            사진 :  'nishikigoi mondo' edited by INPC

                                                   독일비늘 계통의 kinkiryu

                                      사진 :  'nishikigoi mondo' edited by INPC

                                              kinkiryu 계통도

                         사진 :  'nishikigoi mondo' edited by INPC

 

************설명************

1. kinkiryu는 1988년 숫컷 독일금소화(doitsu kin showa)

                             암컷 독일은송엽(doitsu gin matsuba,독일광채계통과 은송엽 사이에서 나옴)

                             사이에서 만들어짐.

                             이름은 ginryu(은룡)

2. 고정은 위의 새끼중에서 암컷 독일송엽하리와케황금(doitsu matsuba hariwake ogon) 

                    다른 종류의 숫컷 독일붉은공작(doitsu beni kujaku)

                    을 통해 만듦. 광채가 보강됨.

3. 개선은 위 계통에 숫컷 국수, 숫컷 독일공작을 섞음.

                    독일송엽황금의 성질을 갖고 첫 해에는 검은색을 띈 독일송엽하리와케황금으로 보임.

                    점차 자라나며 밝고 빛나게 됨.

4. 결국 독일회색황금에 금색의 무늬를 갖는 모양이 됨.

 

************문제점, 의문점(어디까지나 개인적 생각에 지나지 않음)************

1에서. 처음에 독일 금소화를 쓴 의미가 별로 없어보임.

    계속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소화의 검은색 성질이 나타나지 않음.

2에서. 오히려 광채계통 소화의 붉은색이 하리와케로 나타나는 효과만 있었던 것으로 보임.

   독일송엽하리와케황금(doitsu matsuba hariwake ogon)는 결국 색이 약한 초기 독일 공작.

3,4에서. 여러 과정을 거친 듯 보이지만 결국 공작의 아류라 생각하는 것이 더 맞을 듯 보임.

   광채계통은 만들어진 지 얼마 되지 않기에 교잡을 통해 회색황금이 나오는 것은 드물지 않을 것으로 보임.

   이는 공작의 머리를 보면 완전한 송엽과 홍백스타일만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머리에도 회색 무늬가

   있는 것을 보면 미루어 짐작할 수도 있을 것임.

이름은 회색공작(nezu kujaku ogon)이 어울릴 듯.

일반적으로 용(ryu)은 구문룡, 휘흑룡, 홍휘흑룡처럼 검은 계통에 붙임.

문제가 있는 부분은 지적 요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