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갈색잉어(chagoi), 공리(sora goi), 낙엽(ochiba shigure),
녹색잉어(midorigoi).
*갈색잉어(chagoi)
자연미가 돋보이는 갈색의 잉어입니다.
보통잉어와 흰색바탕 계통의 비단잉어나 낙엽사이의 교배로 나옵니다.
*공리(sora goi)
자연미가 돋보이는 청회색의 잉어입니다.
보통잉어와 흰색바탕 계통의 비단잉어나 낙엽사이의 교배로 나옵니다.
*낙엽(ochiba shigure)
처음 낙엽은 암컷의 갈색잉어, 공리와 숫컷 홍백을 이용하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위의 갈색잉어와 공리의 색을 동시에 갖고있는 잉어입니다.
홍백 기준의 무늬가 보기 좋은데, 홍백과 같은 스타일의 무늬가 나오기 어렵습니다.
크게 자라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18. 노랑잉어(ki goi), 적무지(aka muji), 녹색잉어(midori goi).
*노랑잉어(ki goi)
전신이 광채가 없는 노란색의 잉어입니다.
눈이 빨간 알비노가 보다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적무지(aka muji)
전신이 빨간색의 잉어입니다.
크게 자람에 따라 사람의 손톱처럼 흰색이 자라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크게 자라나면 무게감, 카리스마가 있습니다.
* 녹색잉어(midorigoi)
녹색잉어(midorigoi)는 암컷추취와 수컷야마부키황금과의 교배로
만들어졌다고합니다. 황금의노란색과 추취의 푸른색이 섞여 녹색으로 비슷하게
나온것으로 보입니다.
19. 마쓰가와바케(matsukawabake), 구문룡(kumonryu),
홍구문룡(beni kumanryu), 까마귀잉어(karasu goi).
*마쓰가와바케(matsukawabake)
마쓰가와바케(matsukawabake)는 검은 색 바탕위에 흰 색의 모양이
상황(특히 온도)에 따라 변하는 잉어입니다. 역시 변화에 따라
적당량 흑백이 배분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구문룡(kumonryu)
처음 암컷의 붉은색이 없는 추취와 숫컷의 하게시로(독백, 지느러미와 머리가 하얀
검은 잉어) 사이에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구문룡(kumonryu)은 독일 계통의 마쓰가와바케(matsukawabake)입니다.
어릴적 선별시 큰 잉어처럼 무늬가 나오는 것이 별로 없으나, 때론 모두 버려야 할
잉어로 보이나, 커가며 무늬가 나오는 잉어가 많습니다. 백사도 비슷하죠.
광채가 있으면 휘흑룡(kikoguryu)입니다.
*홍구문룡(kumonryu)
구문룡에 빨간색이 있으면 홍구문룡입니다.
광채가 있다면 홍휘흑룡(beni kikoguryu)입니다.
*까마귀잉어(karasu goi)
전신이 검은 잉어를 까마귀잉어(karasu goi)라 합니다.
사백입니다.
참고만하세요.
* 까마귀잉어 계통으로 우백(hajiro-지느러미가 하얀색),
독백(hajiro+머리까지 하얀색),
사백(hajiro+등과 꼬리지느러미까지 백색인 잉어)
등이 있음.
20. 금은린(kinginrin) 계통
은린홍백입니다.
*모든 잉어에게 은린이 적용됩니다.
은린홍백, 은린소화, 은린삼색, 은린백사, 은린오색, 은린낙엽, 은린적무지 등등.
*은린은 형태에 따라 4가지로 요약됩니다.
(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kado-gin(비늘가장자리광채=sudaregin),
pearl-gin(비늘가운데 광채=tsubugin-tamagin),
beta-gin(비늘전체 광채),
hiroshima-gin(비늘에 방사성모양 광채).
*붉은색 위에는 금린, 흰색위에는 은린으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커가며 은린이 약해집니다.
21. 독일(doitsu)계통
*모든 잉어에게 독일 계통이 적용됩니다.
*독일홍백, 독일소화, 독일삼색, 독일백사, 독일오색, 독일낙엽, 독일적무지 등등.
*잉어의 비늘도 몇가지로 나뉩니다.
거울잉어(mirror carp), 가죽잉어(leather carp), 라인잉어(line carp),
보통잉어(normal carp)
22. 그 외
*별광계통
금별광(kin bekko = tora ogon), 은별광(gin bekko),
적별광(aka bekko), 백별광(shiro bekko), 황별광(ki bekko).
적별광은 강한 적색이 좋고, 가슴지느러미가 희어도 무방합니다.
백별광의경우 크기가 고른 흑이면서 힘있어보이면 좋습니다.
적당량, 견고해보이는 흑이 있어야 보기 좋습니다.
꼬리멈춤의 흑이 있어야 좋습니다.
*송엽계통
금송엽
은송엽
송엽(matsuba), 적송엽(aka matsuba), 황송엽(ki matsuba),
금송엽(kin matsuba), 은송엽(gin matsuba) 등등.
역시 고른 송엽무늬가 있어야 좋습니다.
비오는 연못에 운치를 더합니다.
*단정계통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으로도 표현합니다.
단정은 크고 둥근 모양일수록 좋습니다.
단정에 다른 색이 들어오는 것은 좋지 않으며,
오직 단정소화만 허용됩니다.
(계속 추가)
'* 비단잉어 > 비단잉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nkiryu(금휘룡) (0) | 2012.12.14 |
---|---|
겨울은 공부의 계절 (0) | 2012.01.23 |
종류별 감상 포인트(광채계통) (0) | 2011.11.19 |
종류별 감상 포인트(의, 오색) (0) | 2011.11.19 |
종류별 감상 포인트(천황, 추취) (0) | 2011.11.19 |